윈도우 10 / 11 디펜더 실시간 보호 완전 끄기 프로그램 Defender Control

윈도우 디펜더는 별도의 바이러스 백신 프로그램이 없어도 될 정도로 거의 완벽하게 바이러스를 제거해줍니다. 그런데 가끔 바이러스가 아님에도 바이러스로 인식하여 강제로 파일을 삭제하는 경우가 발생하는데요!! 이럴 경우 보안 설정에 들어가서 실시간 감시 기능을 꺼주시고 다시 파일을 다운로드 받으면 정상적으로 파일을 컴퓨터에 저장 할 수 있는데, 윈도우 디펜더에서 자주 파일을 강제로 삭제하게되면 매우 번거롭게 느껴집니다. 그래서 오늘은 완벽하게 윈도우 디펜더 기능을 비활성화 해주는 프로그램 Defender Contrl 프로그램을 여러분들께 소개할까 합니다. 버튼 클릭 한번이면 윈도우 디펜더 기능을 비활성화 할 수 있습니다. 그럼 지금부터 윈도우 10 / 11 디펜더 실시간 보호 완전 끄기 프로그램 Defender Control에 대해 상세하게 알아보겠습니다.

Defender Control 다운로드 및 사용 방법

Defender Control 프로그램 다운로드 및 압축해제

1 아래 링크를 클릭하면 Defender Control 프로그램 다운로드 사이트에 접속 할 수 있습니다.

2 사이트 접속 후 화면을 아래로 쭉~ 내립니다.

3 화면 끝부분에 Download 버튼을 클릭하면 설치파일을 컴퓨터에 저장 할 수 있습니다.

4 다운로드 받은 파일을 압축해제 하려고 하면 암호를 입력하라고 뜨는데 암호는 'sordum' 입니다. 암호를 입력하여 압축을 해제 해줍니다.

5 압축 해제 후 생성된 폴더로 들어가서 Defender_Settings.vbs 파일을 실행 합니다.

6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설정' 창이 뜨는데 '실시간 보호 기능' 항목 아래에 토글 버튼을 클릭하여 '켬' 상태에서 '끔' 상태로 변경을 합니다.

Defender Control 프로그램 실행 및 사용 방법

1 dControl.exe 파일을 실행하면 악성파일이라고 빨간색 창이 뜨는데, 윈도우에서는 디펜더 기능을 끄거나 켜는 설정들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악성파일로 인식을 합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악성파일이 아님에도 악성파일 알림창이 뜨게됩니다. 악성 파일 알림 창이 뜨면 '추가정보' 문구를 클릭 후 실행 문구를 클릭합니다.

2 Defender Control 프로그램이 실행 됩니다. 사용방법은 매우 단순합니다. 윈도우 디펜더 기능을 끄려면 'Windows Defender 사용 안 함' 버튼을, 디펜더 기능을 다시 켜려면 'Windows Defender 사용' 버튼을 클릭 하면됩니다.

3 'Windows Defender 사용 안 함' 버튼을 클릭하면 '변조 방지를 수동으로 꺼야 합니다.' 라는 알림창이 뜨는데 '예' 버튼을 클릭 합니다.

4 Windows 보안 창이 뜨면 '변조 보호' 항목 아래에 위치한 토글 버튼을 클릭하여 '켬' 상태에서 '끔' 상태로 변경을 합니다.

5 이제 다시 'Windows Defender 사용 안함' 버튼을 클릭하고 잠시 기다리면 'Windows Defender가 꺼져 있습니다.' 라는 빨간색 알림 메세지로 변경 됩니다.

윈도우 디펜더 기능이 비활성화 되었는지 확인하는 방법

1 윈도우 바탕화면에 디스플레이 설정 메뉴를 클릭 후 설정 창이 뜨면 외쪽 메뉴에서 '개인 정보 및 보안' 메뉴를 클릭 합니다.

2 Windows 보안 버튼을 클릭 합니다.

3 '바이러스 및 위협 방지' 버튼을 클릭 합니다.

4 '활성 바이러스 백신 공급자가 없습니다. 장치가 공격에 취약합니다.' 라는 문구가 표시되어 있으면 정상적으로 윈도우 디펜더 기능이 비활성화 된 것이라고 인지하시면 되겠습니다.

긴 글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끝.

소프트웨어 카테고리 관련 글

윈도우 카테고리 관련 글

웹 카테고리 관련 글

모바일 카테고리 관련 글

게임 카테고리 관련 글

상품 리뷰 카테고리 관련 글

생활 정보 카테고리 관련 글

Leave a Comment